카테고리 없음

세계 7번째 SLBM 보유국 성공과 의미

1호 블 2021. 9. 15. 21:39
반응형

한국은 독자 개발한 SLBM으로 잠수함 발사 시험에 성공한 세계 7번째 국가가 됐다고 합니다.

 

 

SLBM은 우리 군이 독자 설계하고 건조한 최초의 3000t급 잠수함인 도산안창호함에 탑재돼 수중에서 발사됐으며, 계획된 사거리를 비행해 목표 지점에 정확히 명중하며 발사에 성공했는데요.

 

 

SLBM 보유국

미국(트라이던트II), 러시아(불라바, 시네바), 중국(JL2), 영국(트라이던트II), 프랑스(M51), 인도(아그니3) 등 세계 6개국만 운용하고 있었으며 우리나라가 성공하며 세계 7번째 국가가 되었습니다. 북한을 보유국에 포함 시키냐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고 하는데요.

 

이는 SLBM 기술 개발은 지상 사출 시험, 바지선을 이용한 수중 사출 시험, 잠수함 시험 발사 등 3단계로 나뉘는데, 북한이 마지막 단계인 잠수함 시험 발사에 성공했는지에 대해선 확실치 않다고 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SLBM이란?

잠수함에서 발사되는 SLBM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전략폭격기와 함께 3대 전략무기로 꼽히고 있는데요. 이번 SLBM 수중 발사 성공은 여러 차례의 시행착오를 거쳐 발사에 성공한것이라 더욱 의미가 있을듯 한데요.

 

 

'SLBM'은 ICBM(대륙간탄도미사일)을 전략 핵잠에서 발사하도록 개량한 것으로 보통 수심 30m 안팎에서 움직이는 잠수함에 설치됩니다. 발사시 자체 부력으로 서서히 떠오르다 수면에 다다르면 빠른 속도로 목표물을 향해 날아가 명중시키는 무기 체계로 기존 탄도미사일이 발사지점으로부터 사거리가 제한된 단점이 있는 반면 SLBM은 잠수함을 이용해서 바다 밑으로 은밀하게 이동해서 수월하게 목표에 더욱 가깝게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장보고급 잠수함 배치III 1번함 도산 안창호함과 2번함인 안무함의 수직 발사관에서 이번 SLBM을 설치 배치 한다면 주변국 중국과 일본은 물론 북한과 러시아 까지 견제가 가능한 전략 자산이 생기게 된것 입니다.

반응형